IBK기업은행 알토스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IBK기업은행 알토스는 2011년 창단된 한국 여자 프로 배구팀으로, 화성시를 연고지로 한다. V-리그에서 3번의 우승과 3번의 준우승을 기록했으며, KOVO컵에서도 3번 우승했다. 주요 선수로는 김희진, 김주향 등이 있으며, 김호철 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- 김호철 (배구인)
김호철은 대한민국 남자 배구 국가대표 선수 출신으로, 뛰어난 토스 실력으로 '컴퓨터 세터'라는 별명을 얻으며 국내외에서 성공적인 선수 생활을 했고, 프로팀 및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우승을 이끌었지만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한 인물이다. - 대한민국의 배구단 -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
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는 1976년 금성통신 배구단으로 창단되어 구단명과 모기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, 2005년 V리그에 참가하여 2021-2022 시즌 준우승과 2012년 KOVO컵 우승을 기록하고, 2017년 의정부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. - 대한민국의 배구단 - 유관순체육관
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유관순체육관은 여러 프로 스포츠 구단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, 현재는 남자프로배구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의 홈구장이다. - 화성시의 스포츠 - 고양 히어로즈
고양 히어로즈는 2023년 KBO 리그에 합류한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으로, 경기도 고양시를 연고지로 퓨처스리그에서 활동하며 1군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. - 화성시의 스포츠 - 화성종합경기타운
화성종합경기타운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종합 스포츠 시설로, 축구 국가대표팀 월드컵 예선 경기가 열린 주경기장, K3리그 화성 FC 홈 구장, 여자 프로 배구팀 화성 IBK 기업은행 알토스 홈 경기장인 실내체육관을 갖추고 수도권 각지에서 접근이 용이하다.
IBK기업은행 알토스 - [스포츠팀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클럽 이름 |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|
전체 이름 |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배구단 |
![]() | |
약칭 | IBK |
창단 | 2011년 |
홈 경기장 | 화성실내체육관 |
연고지 | 화성 |
수용 인원 | 5,158명 |
구단주 | IBK기업은행 |
단장 | 감성한 |
감독 | 김호철 |
주장 | 황민경 |
리그 | V-리그 |
시즌 | 2023-24 |
정규시즌 순위 | 5위 |
포스트시즌 | 진출 실패 |
웹사이트 | http://sports.ibk.co.kr/volleyball/main/main.php |
유니폼 | |
패턴 (몸통) | _vneckblack |
색상 (왼팔) | FFFFFF |
색상 (몸통) | 00ABEB |
색상 (오른팔) | FFFFFF |
색상 (바지) | 000000 |
패턴 (몸통) | _vneckblack |
색상 (왼팔) | FFFFFF |
색상 (몸통) | FFFFFF |
색상 (오른팔) | FFFFFF |
색상 (바지) | 191970 |
2. 역사
IBK기업은행 알토스는 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[1][2]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[3][4]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
IBK기업은행 알토스는 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
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[1][2]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[3][4]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
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
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[1][2]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[3][4]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
2. 1. 창단
IBK기업은행 알토스는 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2. 2. 이정철 감독 시대 (2011-2019)
IBK기업은행 알토스는 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2. 3. 김우재 감독 시대 (2019-2021)
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[1][2]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[3][4]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2. 4. 감독 교체와 논란 (2021)
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2. 5. 김호철 감독 시대 (2021-)
2011년 8월에 한국 여자 V리그 여섯 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.[1][2] 홈타운 결정에 어려움을 겪었지만[3][4], 최종적으로 화성시가 되었다.3. 역대 시즌
시즌 | 정규리그 | 포스트시즌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경기수 | 승 | 패 | 승점 | 순위 | ||
2011-12 | 30 | 13 | 17 | 42 | 4 | 진출 실패 |
2012-13 | 30 | 25 | 5 | 73 | 1 | 우승, 3-1 (GS칼텍스) |
2013-14 | 30 | 24 | 6 | 70 | 1 | 준우승, 2-3 (GS칼텍스) |
2014-15 | 30 | 20 | 10 | 56 | 2 | 우승, 3-0 (한국도로공사) |
2015-16 | 30 | 20 | 10 | 59 | 1 | 준우승, 0-3 (현대건설) |
2016-17 | 30 | 18 | 12 | 56 | 2 | 우승, 3-1 (흥국생명) |
2017-18 | 30 | 21 | 9 | 61 | 2 | 준우승, 0–3 (도로공사) |
2018-19 | 30 | 16 | 14 | 50 | 4 | 진출 실패 |
2019-20 | 27 | 8 | 19 | 25 | 5 | 진출 실패 |
2020-21 | 30 | 14 | 16 | 42 | 3 | 플레이오프, 1-2 (흥국생명) |
2021-22 | 32 | 11 | 21 | 31 | 5 | 진출 실패 |
2022-23 | 36 | 15 | 21 | 48 | 6 | 진출 실패 |
2023-24 | 36 | 17 | 19 | 51 | 5 | 진출 실패 |
합계 | 401 | 222 | 179 | – |
4. 우승 경력
wikitext
; 한국 V리그
- 우승: 3회 (2012-2013, 2014-2015, 2016-2017)
- 준우승: 3회 (2013-2014, 2015-2016, 2017-2018)
; KOVO컵
- 우승: 3회 (2013년, 2015년, 2016년)
- 준우승: 2회 (2012년, 2023년)
4. 1. V-리그
V-리그 챔피언결정전에서 2012-13, 2014-15, 2016-17 시즌에 우승(

4. 2. KOVO컵
IBK기업은행 알토스는 KOVO컵에서 세 번 우승( 2013, 2015, 2016)과 두 번의 준우승( 2012, 2023)을 기록했다.4. 3. 기타 대회
IBK기업은행 알토스는 VTV 국제 여자 배구컵에서 2012년에 3위를 차지했다. 한국 V리그에서는 3회 우승(2012-2013, 2014-2015, 2016-2017)과 3회 준우승(2013-2014, 2015-2016, 2017-2018)을 기록했다. KOVO컵에서는 3회 우승(2013년, 2015년, 2016년)과 2회 준우승(2012년, 2023년)을 달성했다.5. 선수단
2023-24 시즌 IBK기업은행 알토스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.
'''아웃사이드 히터'''
'''아포짓 스파이커'''
- 4 김희진
'''미들 블로커'''
- 13 최정민
- 17 김현정
'''세터'''
- 5 김하경
- 9 폰판 끗쁘랏
'''리베로'''
- 3 신연경(주장)
- 10 구혜인
- 18 김수빈
'''코칭스태프'''
5. 1. 현재 선수 명단 (2023-24 시즌)
2023-24 시즌 IBK기업은행 알토스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.'''아웃사이드 히터'''
'''아포짓 스파이커'''
- 4 김희진
'''미들 블로커'''
- 13 최정민
- 17 김현정
'''세터'''
- 5 김하경
- 9 폰판 끗쁘랏
'''리베로'''
- 3 신연경(주장)
- 10 구혜인
- 18 김수빈
'''코칭스태프'''
5. 2. 역대 외국인 선수
알레시아 리귤릭 (2011-2013), 빅토리아 댄착 (2024-)카리나 오카시오 클레멘테 (2013-2014), 달리 산타나 (2021-2023), 브리테니 압버크롬비 (2023-2024)
데스티니 후커 (2014-2015), 리즈 맥마혼 (2015-2016), 메디슨 리쉘 (2016-2018), 레베카 라셈 (2021)
안나 라자레바 (2020-2021)
폰푼 구엗파드 (2023-2024)
천신텅 (2024-)
5. 3. 영구 결번
김사니 세터의 등번호 9번은 2017년부터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. 이는 V-리그 여자부 최초의 영구 결번이다.[9]6. 코칭 스태프 및 지원 스태프
wikitable
6. 1. 현재 코칭 스태프 (2023-24 시즌)
wikitable직책 | 이름 |
---|---|
구단주 | 윤종원 |
단장 | 감성한 |
감독 | 김호철 |
코치 | 안태영, 신승환, 공태현 |
스태프 | 네맥 마틴(코치 겸 트레이너), 김준현, 유리나, 이현정, 이인희[10], 최혜림 |
6. 2. 역대 감독
(승–패)(승–패)
승률